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께서 채권 투자를 위해 알아야 할 용어들을 예시를 통하여 설명하는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채권에 익숙하지 않은 투자자를 위한 자료입니다.
글을 아래의 순서로 작성되었습니다.
- 은행환산수익률
- 채권수익률과 표면이자율
- 채권의 가격 결정식
- 표면금리와 채권 수익률 예시
1. 은행 환산 수익률
증권사의 상품을 검색하다 보면, 매수 금리, 표면금리, 은행환산 수익률 이렇게 다양하게 표시되는 용어 때문에 도대체 이게 뭘까 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어차피 채권 매수할 때 가상 매매 기능이 있어서 알아서 다 계산해 주니까 계산을 할 필요는 없으실 겁니다.

은행 환산 수익률은 채권과는 사실 연관성이 없지만, 개인투자자들에게 정기예금과 비교하여 이해를 돕기 위해 산출된 숫자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이 은행 환산 수익률은 정기예금과 비교 정도로만 이해하시면 됩니다.
2. 채권 수익률과 표면 이자율
- 표면이자율 은 표면 금리로, 채권의 권면에 기재된 이율 (채권 발행 시 약속된 금리), 발행자가 지급하는 이자를 액면으로 나눈 값 (연단위로 표기)
- 채권수익률 (=만기수익률, YTM) 은 투자자가 채권을 현재 가격에 구입하여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 얻게 되는 수익률
위 두 가지 수익률은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 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할까요?
채권은 약속된 이율을 지급하기로 약속하고 발행을 하는데, 시장 금리가 변경되면 해당 채권의 가치가 떨어지기도 하고 올라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시장 금리가 4%인데, 1%로 발행된 저쿠폰 채권은 시장에서 거래가 될까요?
아무도 찾지 않을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발행된 액면금액 만 원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를 하게 되는 것이지요.

- 채권 가격 결정식을 살펴보면 미래현금흐름(원금+이자)의 현재가치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 위 그림의 산출식에서,
- 미래 현금흐름 (= CF, Cash Flow)이란, 이자 (=표면이자율, 액면 이자율, coupon rate. 이 금리는 발행 당시 형성되는 금리) 와 원금이며 이는 일반적인 이표채의 경우 발행될 때 확정되는 외생변수입니다.
-
- 한편 이를 현재 가치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할인율 (= r) 은 우리가 시장에서 형성되는 금리 (즉 시장금리, 만기수익률, YTM, 소위 채권수익률)이며 이는 채권 가격을 결정하는 내생변수입니다.
- 채권의 현금흐름이 정해져 있을 때, 할인율(=금리, 수익률) 이 커질수록 가격이 싸지게 됩니다. (통상 일반적인 이표채의 경우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이 여기에서 기인함)
- 가격과 수익률이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다시 생각해 보면, 액면 금액 (만기 때 받게 되는 가격, 10,000원) 이 정해져 있을 때, 수익률 (=만기수익률, YTM) 이 올라갔다는 것은, 내가 그만큼 채권을 싸게 사야 한다는 뜻 (즉 액면 대비 낮은 가격에 산다는 뜻입니다)
3. 표면 금리와 채권 수익률 예시
만기수익률, 이자율, YTM, 채권 수익률, 표면금리 너무도 용어를 다르게 쓰는 경우가 많아서 더욱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하는데요. 표면금리 = 이표금리 = 표면금리 = 표면이자율 모두 같은 의미라고 보시면 됩니다.
만기수익률, YTM, 채권수익률 이것도 그냥 하나로 생각하시면 편하실 겁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위에 있는 계산식은 몰라도 아래 예시를 보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시
현재 키움캐피탈의 표면금리 (이표금리, 쿠폰금리, 쿠폰, 표면이자율) 5.665%

- 표면금리는 5.665%: 발행할 때 주기로 약속한 쿠폰을 의미합니다.
- 민평 금리는 6.877% 로 해당 수익률에서의 시장 가격이 9,906원 (원 미만 절사)
- 표면금리보다 현재 시장 금리가 높아졌기 때문에 가격이 액면 10,000원에서 낮아진 상태. 즉 액면보다 싸게 거래된다는 의미.
- 쿠폰금리, 만기수익률(YTM, 민평 3사)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현재의 시장 가격 9,906을 분해해 보면, 각각에 대한 현재 가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즉 발행 시기인 22년 9월 16일 대비 현재 시장 금리가 상승했기 때문에 할인율 (분모) 가 커져서 단가가 10,000원에서 하락한 9906원
채권 용어가 익숙하지 않은 분들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 23년 근로소득세율 소득세과세표준 식대 비과세 한도 상향 (1) | 2023.01.30 |
---|---|
[연말정산]중도 퇴사자의 연말정산 방법 (1) | 2023.01.30 |
[주식용어]유상증자, 신주인수권 의미, 신주인수권거래방법, 유상청약 방법 (3) | 2023.01.29 |